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임상운동학에 대해 알아보자!

by Physio_Soon 2023. 3. 11.



물리치료 공부를 하다 보면 제일 먼저 임상 운동학이란 걸 접하게 되는데 쉽게 얘기하면 우리 몸이 어떻게 움직임을 갖는지 알아보는 학문이다.

쉬운 거부터 시작을 해보면 자유도에 대한 이야기, 여러 가지 면과 축에 대한 움직임을 이해하면 좋을 것 같아 설명을 해보자 한다.


우선 요즘 핫한 Chat GPT에게 물어보았다

관절학에서 자유도는 주로 관절 운동범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이때, 자유도는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.

관절은 보통 3개의 자유도를 가지며, 이는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방향에 따라 달라집니다. 각각의 자유도는 다음과 같습니다.

굴곡/신전 자유도: 관절이 앞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.
십자인대 자유도: 관절이 옆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.
회전 자유도: 관절이 회전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.
이외에도, 특정 관절에서는 더 많은 자유도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. 관절의 자유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은 관절 질환 및 손상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.

라고 나오는데 아직은 chat GPT도 좀 더 진화해야겠다.


우리 관절에서 자유도란 3개의 면과 3개의 축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으로
굽힘과 폄
벌림과 모음
바깥쪽회전 안쪽회전의
움직임이 나타 날 수 있으며


예를 들면 이 모든 움직임이
일어나는 관절은 어깨관절이고
하나의 움직임만 나오는 관절에 대해선 아래에 기술하겠다.



인체엔 3개의 면과 3개의 축이 모든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데 위에서 보면 파란색 빨간색 초록색으로 보면된다.

1. 관상면 (frontal plane)
위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으로 인체를 전 후로 나눠는 면이다.

2. 시상면 (sagital plane)
위 그림에선 빨간색으로 보이는 것으로 인체를 좌 우로 나누어놓은 면으로 볼 수 있다.

3. 수평면 (horizontal plane)
위 그림에서 초록색으로 보이는 것으로 인체를 상 하로 나누는 면이다.


면에 대한 설명을 했으니 해당 면에서 어떤 움직임이 일어나는지 알아봐야 하는데 생각보다 쉽게 생각하면 좋다.


이렇게 3개의 축이 있다 치면
이마면에선 x축
시상면에선 z 축
수평면에선 y축인 셈이다 그러하여

이마면에선 시상축의 움직임
시상면에선 이마축의 움직임
수평면에선 수직축의 움직임이 되는 것이다.

우선 제일 왼쪽에 있는 관상면에 움직임을 보고자 하는데 쉽게 생각해서 저 파란면에 볼펜으로 구멍을 뚫었다 생각하면 될 듯하다.




이렇게 어깨가 한 축이 고정이 되면 움직여지는 게 팔이 옆으로 벌리고 모이는 벌림, 모음의 움직임이 일어난다.

두 번째론 시상면에서의 움직임을 알아볼 건데 마찬가지로 인체를 좌 우로 나눈 면에서 볼펜으로 구멍을 뚫어버리면


축은 안움직이기 때문에 축을 기준으로 한 그림에서의 어깨나 무릎 관절은 구부림과 폄  두 가지 움직임만 일어날 수 밖에 없게된다.

세 번째론 수평면에서의 움직임인데


마찬가지로 상 하로 나눈 면에 볼펜을 꽃고 돌려보면 이렇게 머리를 돌리는 혹은 팔 다리를 제자리에서 돌리는 회전인 rotation의 움직임만 발생 할 수 밖에 없다.

기본적으로 알아본 3가지 면과 3가지 축에 대한 움직임을 통해 기본적인
굽힘 폄
벌림 모음
안쪽 바깥쪽 돌림을 알아볼 수 있다.

#임상운동학 #내전 #외전 #굴곡 #신전 #회전 #시상면 #관상면 #수평면 #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