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상운동학 자유도2 임상운동학, 자유도에 대해 알아보자 저번엔 면과 축에 대해 알아봤는데 오늘은 그걸 이용하여 조금 더 생각할 수 있도록 자유도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보자 한다. 자유도란? 자유도(degree of freedom)는 관절에서 허용되는 독립적인 움직임 방향의 수 라고 뉴만 키네지올로지 책에 쓰여있다. 저번에 봤을 때 사상면 이 마면 수평면 3가지 면에 대한 x(ML axis) y(Vertical axis) z 축(AP axis) 3가지의 축이 있다고 말을 했는데 고로 자유도는 적으면 1개 많으면 3개의 움직임 방향을 갖는다. 예를 들어 자유도가 1인 관절이 있다면 관절면에서 움직임이 한 개기 때문에 굽힘과 폄의 움직임만 일어나는 것을 뜻한다. 글만 봐선 이해가 어려우니 위 사진과 같이 어깨관절 (shouler joint)를 예로 들면 x y z.. 2023. 3. 11. 임상운동학에 대해 알아보자! 물리치료 공부를 하다 보면 제일 먼저 임상 운동학이란 걸 접하게 되는데 쉽게 얘기하면 우리 몸이 어떻게 움직임을 갖는지 알아보는 학문이다. 쉬운 거부터 시작을 해보면 자유도에 대한 이야기, 여러 가지 면과 축에 대한 움직임을 이해하면 좋을 것 같아 설명을 해보자 한다. 우선 요즘 핫한 Chat GPT에게 물어보았다 관절학에서 자유도는 주로 관절 운동범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 이때, 자유도는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. 관절은 보통 3개의 자유도를 가지며, 이는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방향에 따라 달라집니다. 각각의 자유도는 다음과 같습니다. 굴곡/신전 자유도: 관절이 앞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. 십자인대 자유도: 관절이 옆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... 2023. 3. 11. 이전 1 다음